티스토리 뷰
- 연조귀감 헌종
원래 영조 말에서 정조 초년에 편찬되었으며, 이진흥의 증손자 명구明九에 의해 1848년헌종 14 무렵에 간행되었다. 속편은 이진흥의 아들 정하 연曺龜鑑연조귀감
연조귀감연조귀감掾曹龜鑑문헌조선 정조 때 이진흥李震興이 향리鄕吏들의 현재 알려져 있는 것은 대부분 1848년헌종 14 명구가 다시 목판본으로 간행한 연조귀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
연조귀감掾曹龜鑑은 조선의 관인 이진흥李震興이 향리鄕吏에 관계된 기록 및 그들 가운데서 의 노력을 거쳐 증손자 이명구李明九에 의해 헌종 14년1848년에 훨씬 더 많은 자료를 추가하여 연조귀감ㆍ속편이 목판본으로 간행되었다.개요 · 구성 · 편찬 배경 · 의의 연조귀감
유주, 소대풍요, 풍요속전 전기, 사적 정리 정조 연조귀감 _ 이진흥/향리들의 사적을 집약하여 기록 헌종 호산외사 _ 조희룡중인출신, 김정희의 문인/중인 공부일상기록 D54 2017.10.23.월 feat. 스타벅스, 지방직 공무원
- 연조귀감 규사
조선 정조 때 이진흥李震興이 향리鄕吏들의 사적事蹟을 집약, 정리한 책. 연조귀감연조귀감掾曹龜鑑문헌조선 정조 때 이진흥李震興이 향리鄕吏들의 사적 누락된 검색어 규사 연조귀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
정사에서 소외된 위항인들의 자기역사의 정리라는 점에서 같은 시기에 나온 ≪규사 葵史≫·≪연조귀감 㙉曹龜鑑≫과 같은 궤를 이룬다.≪규사≫는 1859년 대구의 위항문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
연조귀감掾曹龜鑑은 조선의 관인 이진흥李震興이 향리鄕吏에 관계된 기록 및 그들 가운데서 뛰어난 인물의 전기를 모아 엮은 책이다. 필사본. 3권 2책. 필사본이 누락된 검색어 규사 연조귀감
장악 공통점 1 향리는 향직을 세습 2 양반×, 귀족×, 중간계층 3지방 행정 실무 담당 ※ 향리의 역사서 연조귀감이진홍 cf.규사이진택 서얼의 역사서 1 고려 중앙, 지방조직, 과거제
최성환,중인 희조일사이경민,중인 호산외기조희룡,중인역사 규사이진택,서얼역사 연조귀감이진흥,향리역사 이향견문록유재건,서리 이경민의 희조일사는 3 조선의 신분제도